제111조 ① 헌법재판소는 다음 사항을 관장한다.
- 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여부 심판
- 탄핵의 심판
- 정당의 해산 심판
- 국가기관 상호간,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간 및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권한쟁의에 관한 심판
- 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 ② 헌법재판소는 법관의 자격을 가진 9인의 재판관으로 구성하며, 재판관은 대통령이 임명한다. ③ 제2항의 재판관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, 3인은 대법원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. ④ 헌법재판소의 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재판관 중에서 대통령이 임명한다.
「헌법재판소법」
제47조(위헌결정의 효력) ③ 제2항에도 불구하고 형벌에 관한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은 소급하여 그 효력을 상실한다. 다만, 해당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에 대하여 종전에 합헌으로 결정한 사건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결정이 있는 날의 다음 날로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한다. ④ 제3항의 경우에 위헌으로 결정된 법률 또는 법률의 조항에 근거한 유죄의 확정판결에 대하여는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.
제61조(청구 사유) ② 제1항의 심판청구는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(不作爲)가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하여 부여받은 청구인의 권한을 침해하였거나 침해할 현저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할 수 있다.
판례
- 법인도 사단법인·재단법인 또는 영리법인·비영리법인을 가리지 아니하고 위 한계 내에서는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이 침해되었음을 이유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. (헌재 1991. 6. 3. 90헌마56)
- 국회의원과 국회의장도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 될 수 있다. (헌재 1997. 7. 16. 96헌라2)
- 정당은 헌법 제111조 제1항 제4호의 ‘국가기관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, 권한쟁의의 심판의 당사자능력이 인정되지 아니한다. 헌법은 권한쟁의심판청구의 당사자로 국회의원들의 모임인 교섭단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다. 따라서 교섭단체는 그 권한침해를 이유로 권한쟁의심판을 청구할 수 없다. (헌재 2020. 5. 27. 2019헌라6)
선지
- 「헌법재판소법」 제62조제1항제1호가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을 ‘국회, 정부, 법원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’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, 이들 기관 외에는 권한쟁의심판의
당사자가 될 수 없다. (이들 기관 외에는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 될 수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)#행21 - 정당은 공권력 행사 주체로서 국가기관의 지위를 가지므로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
될 수 있다. (될 수 없다)#행21 - 교섭단체가 갖는 권한은 원활한 국회 의사진행을 위하여
헌법이 인정하는 권한이므로, 교섭단체는 그 권한침해를 이유로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될 수 있다. (교섭단체가 갖는 권한은 국회법에서 인정하는 권한이고,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가 될 수 없다)#행21 - 권한쟁의심판은 피청구인의 처분 또는 부작위가 헌법 또는 법률에 의하여 부여받은 청구인의 권한을 침해하였거나 침해할 현저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만 청구할 수 있다.#행21
- 위 사례(2009헌바17)에서 위헌결정이 선고되는 경우 결정 선고 이전에 심판대상조항에 의하여 유죄의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들은 당연히 구제되는 것은 아니고 법원에 개별적으로 재심을 청구하여야 한다.#행21
- 위 사례에서 심판대상조항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선고하는 경우, 이는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이므로 예외적으로 심판대상조항은
제정된 때로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하게 된다. (결정이 있는 날의 다음 날로)#행21